-
미중 무역전쟁 '최악' 되면…글로벌 경제 711조원 피해 추정잡담 2019. 5. 29. 10:17반응형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의 모든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경우,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피해액이 약 6000억달러( 약711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경제학자 댄 핸슨과 톰 올릭이 미중 무역전쟁의 최악 상황을 가정해 분석한 결과 전면적 관세부과의 충격이 최고조에 이르는 2021년에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이 이전에 비해 총 6000억달러 사라지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10일 미국은 2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했다. 이에 대해 중국도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5%에서 25%로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핸슨과 올릭의 분석에 따르면, 위와같은 관세 인상의 영향으로 미국의 GDP는 이전에 비해 0.2%, 중국은 0.5% 추가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만약 미국과 중국과 나머지 모든 수입품에 대해서도 25%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엔, 2021년 중반쯤 미국의 GDP는 0.5%, 중국은 0.8% 추가 하락할 전망이다. 글로벌 GDP는 0.5% 하락이 예상된다.
미국과 중국의 전면적 25% 관세 부과의 영향으로 주식시장이 10% 하락하는 '악몽의 시나리오'가 전개될 경우엔, 2021년 중반 미국 GDP는 0.7%,중국은 0.9%, 글로벌 GDP는 0.6% 떨어질 것으로 핸슨과 올릭은 추정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소비와 투자가 곤두박질치면서 경제적 충격이 더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블룸버그의 또다른 경제학자 메이바 커즌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가장 타격을 입을 국가로 한국을 비롯해 대만 말레이시아를 꼽았다. 대만 GDP의 약 1.6%가 중국의 대미수출과 연관돼 있고, 한국은 0.8%, 말레이시아는 0.7%가 연관돼있다는 것이다.우리나라 경우 컴퓨터 등 전자제품의 4.36%가 중국의 대미 수출과 연관돼, 미중 무역전쟁이 악화될 경우 다른 품목들에 비해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평가됐다. 금속제품 경우 1.36%,화학제품 및 비금속 제품의 1.32%가 중국의 대미 수출과 연관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펌-네이버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장기화 될것이라는 전망을 보이고 있다.개인적인 견해이지만 쉽게 풀릴 고리는 아니고 생각한다.미국은 일본 및 서방국가들의 세력다지기 그리고 중국은 우방국가들을 단속하는 모양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경제가 당분간은 숨고르기를 할 모양세이다. 앞으로의 대한민국의 거취나 정부의 스탠스가 주목되는 점이기도 하다.
중요한 시기이기때문에 외교관의 기밀누출이나 정치싸움은 다음으로 미루어두고 일신보다는 자국의 이익의 방향으로 움직이는게 바람직하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물론 절대적인게 없다는 것이 대한민국에게 불리한점이기도하지만 장점으로 부각될 수도 있는 문제이다.
북핵문제나 국내 정치상황이나 민생안정 및 여러가지 풀어가야할 점들이 이번정부의 과업이라고 생각한다.
짧은지식이지만 좀 더 나은 상황을 만들고자 개인의 생각을 미력하나마 포스팅해본다.
반응형'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지방률표 정리...(남자,여자) (2) 2019.06.01 에이티넘인베스트 에대해 알아보자... (0) 2019.05.30 외교부, ‘기밀 유출’ 외교관·강효상 의원 형사고발 방침 (0) 2019.05.29 코오롱생명과학 "인보사 조작·은폐 없었다" (0) 2019.05.28 외교부, 트럼프 '일본해' 지칭과 그에 대한 견해 (0) 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