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분식회계란 무엇인가?
    잡담 2019. 6. 4. 10:00
    반응형

     

    분식회계란 말들을 우리는 뉴스나 이런저런 매체에서 듣게 된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가 무엇일까하고 생각하고 금세 지나쳐 버리기 일 수 이다. 특히나 전공을 안 했거나 관련 없는 직종에 있는 사람들은 그 개념에 대해 어렴풋할것이다.

    '분식'의 사전적 의미는 '실제보다 좋게 보이도록 거짓으로 꾸미는 것'으로, 분식회계란 회사의 실적을 좋게 보이게 하기 위해 회사의 장부를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가공의 매출을 기록한다든지 비용을 적게 계상하거나 누락시키는 등 기업 경영자가 결산 재무제표상의 수치를 고의로 왜곡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회계장부를 좋게 보이게 해서 어떤의도를 갖는것이 특징이다. 예컨데 주식시장의 기준이되는 재무재표를 좋게 꾸며서 부당이득을 취한다던지, 회계장부를 조작해 투자유치 은행권 대출등 상대방을 기만하여 부당이득을 얻는 것이다.

     

     

    아래와 같은 예이다.

    - 재고자산을 실제보다 부풀린다.
    - 외상판매를 가짜로 만들어 매출액을 늘린다.
    - 자산가치를 실제 가치보다 높게 평가한다.
    - 못 받게 된 외상매출금을 결손처리하지 않는다.
    - 올해 비용을 다음 해로 넘긴다.
    - 기계장치 등 고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적게 계상한다.
    - 임시로 들어온 자금이나 선수금을 매출액으로 잡는다.
    - 단기채무를 장기채무로 표시한다.
    - 있지도 않은 외상미수금을 만들어 영업수익을 늘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분식회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요약하자면 회사의 실적을 좋게 보이게 하기 위해 회사의 장부를 조작하는 것으로, 가공의 매출을 기록하거나 비용을 적게 계상하거나 누락시키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